[클린 코드] 1-3장 깨끗한 코드 ~ 함수
클린 코드
1장. 깨끗한 코드
좋은 코드(Clean Code, 깨끗한 코드)는 왜 필요한 이유는 나쁜 코드로 치르는 대가가 점점 커지기 때문이에요.
이제 프로젝트 진행을 하는데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린 코드가 왜 필요한지 알아봐요.
클린 코드의변경 비용 그래프
프로젝트 규모가 커짐에 따라 결국 더러운 코드의 생산 비용이 더 커지게 되요. 그러면 항상 클린 코드로 코드 관리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 같은 경우에는 분기점의 왼쪽의 규모에 해당한다면 그냥 대충 코드를 짜는게 오히려 생산성이 더 좋다고 볼 수 있어요. 프로젝트 관리자는 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로 클린하게 코드를 짤 지, 그 분기점이 어느 정도 규모일지를 생각해서 코드 관리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클린 코드의 생산성 변화
위 그래프는 코드 관리에 따른 생산성 변화 그래프를 나타내요. 코드가 엄청 더러운데 계속 추가하면, 기존 담당자 뿐 아니라 새로 들어온 사람도 코드 파악도 힘들고 고치기도 힘들꺼에요. 그러면 코드베이스 파악이 힘들고, 새로운 사람의 투입 시간도 오래 걸릴거에요.
나쁜 코드로 치르는 대가
나쁜 코드가 증가하면 생산성 저하로 이어져요. 그러면 프로젝트 관리자는 생산성을 위해 인력을 추가할 거에요. 그러면 추가된 인력은 기존 코드베이스를 파악하기 어렵고 설계 의도를 적절히 반영하기도 힘들어져요. 결국 이는 나쁜 코드가 또 증가하게 되고 악순환이 반복되요. 그래서 우리는 생산성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인력 추가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코드 관리도 생각해야해요.
코드 감각
이제까지 클린 코드가 왜 중요...